중국방언(북방방언/오방언/상방언/객가방언/강방언/민방언/월방언)
유구한 전통과 우리 남한 면적의 100배에 달하는 광활한 영토를 자랑하는 중국은 2천년 전 진시황 때 중국의 문자를 통일했지만 다양한 방언들까지는 통일할 수 없었다. 흔히 중국의 방언은 7대 방언이나 8대 방언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하고, 크게는 북방과 남방 2대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한족 공동의 기초 방언으로 한족의 약 70%가 사용하는 북방(北方)방언, 상하이·장쑤·저장 등지에서 사용하는 오방언, 후난성 일대의 상(湘)방언, 장시성 대부분 지역의 감방언 ,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등지의 객가(客家)방언, 푸젠성 푸저우 말로 대표되는 민방언, 광둥성 광저우 말로 대표되는 월방언 등이다. 이는 단순한 지리상의 구분이 아닌 방언의 음운적 특질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으로, 음운적 특질이란 여러 가지 방면에서 나타나므로 방언지역의 경계는 매우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의 방언은 7대 방언 내에서도 지역적 차이가 존재하는 ‘차(次)방언’이라는 등급이 있을 정도로 복잡하다.북방방언
북방방언은 명·청 이후로 공식적 관방 언어로 관화(官話)라고도 불린다. 북방방언은 북경화(北京話)를 대표방언으로 하며, 중국의 민족 공동어의 기초방언이다. 한족의70% 이상이 사용하고 있고, 7대 방언 가운데 가장 넓은 분포지역을 갖고 있으며, 화북방언(華北方言), 서북방언(西北方言), 서남방언(西南方言), 강회방언(江淮方言)의 4개 차방언이 있다.오방언
상해와 강소성(江蘇省)의 장강(長江) 이남 및 절강성(浙江省) 대부분 지역의 방언이다. 소주어(蘇州語)가 대표적이다. 사용 인구는 한족 인구의 8.4%가량에 해당한다.상방언
호남어(湖南語)라고도 한다. 서북 일부를 제외한 호남성(湖南省)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장사화(長沙話)가 대표적 언어이다. 상방언 사용 인구는 한족의 5% 가량에 달한다. 상방언은 크게 신상어(新湘語)와 구상어(舊湘語)로 나누어진다. 신상어는 북방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장사(長沙)등의 대도시에서 주로 쓰인다.강방언
장강(長江)에 인접한 동북부지역과 남부의 일부를 제외한 강서성(江西省) 대부분 지역의 방언이다. 남창화(南昌話)가 대표적이며 사용 인구는 전체 한족의 2.4%이다.객가방언
광동성(廣東省)의 도웁와 북부, 복건성(福建省)의 서부, 강서성(江西省)의 동남부, 그리고 광서성(廣西省) 남부 등에 분포돼 있다. 전체 한족의 4%가 사용한다. 객가인(客家人)은 동진(東晉)에서 송(宋)초에 중원에서 남방으로 이동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여러 곳에 분산돼 있으나, 방언은 뚜렷한 계통을 이루고 있다.민방언
푸젠성 푸저우 말로 대표되는 민방언(민난어)은 복건화(福建話)라고도 한다. ‘민’은 푸젠(福建)을 간략히 일컫는 말이다. 민방언은 다시 민동방언(민東方言), 민남방언(민南方言), 민북방언(민北方言), 민중방언(민中方言), 포선방언(葡仙方言)의 다섯 개로 나뉘며, 중국의 방언 가운데서도 가장 복잡하게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음도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복건성 대부분, 광동성 동부, 절강성 남부의 일부 지역, 그리고 대만에서 사용된다. 민방언은 싱가포르, 동남아 등에 살고 있는 화교의 모어이기도 하다. 사용 인구는 전체 한족의 4.2% 정도이다.월방언
광동화(廣東話)라고도 하며 현지인들은 백화(白話)라고도 부른다. 광동성 중부와 서남부, 광서성 동부와 남부의 방언이다. 광주화(廣州話)가 대표적이며, 홍콩과 마카오 등에서도 광동화를 사용한다. 광동화의 사용 인구는 전체 한족의 5% 정도이다. 푸퉁화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언어 중 하나인 광둥어는 광둥성, 광시성, 홍콩, 마카오와 동남아, 그리고 해외에 거주하는 화교 사이에서 널리 쓰이는 언어로 현재 약 1억1천만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푸퉁화에는 네 가지 성조가 있지만 광둥어는 아홉 가지 성조를 가지고 있을 만큼 차이가 난다. 홍콩에서 잡을 구하기 희망하거나 혹은 생활을 목적으로 할 경우 광동어를 배워두는 것이 좋다. 관련자료 광동어를 배울 수 있는 기관으로는 홍콩의 홍콩중문대학언어원, 그리고 홍콩큐랭귀지어학원이 있다.유용자료 중국생활 유용자료 보러가기